커피얼룩 효과를 이용한 고분자 배향 기술 개발 - 소프트리소그래피 기반 고배향 유기 반도체 소자 제작
(왼쪽부터) 김준규 박사과정 학생, 김형수 교수 김형수 교수 연구실과 우리대학 화학과 윤동기 교수 연구실 그리고 UNIST 김봉수 공동 연구팀은 커피 방울이 종이에 떨어지면 방울 끝으로 커피 알갱이가 모여 방울의 외곽부분에 커피 얼룩이 생기는 커피링(coffee-ring) 효과를 이용하여 반도체 고분자 구조의 배향(orientation)을 조절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준규 박사과정 (김형수 교수 연구실)마이크로...
University of Malaya 교수 5명 기계공학과 방문
2019년 12월 5일(목) University of Malaya 교수 5명으로 구성된 외빈단이 우리 기계공학과를 방문하여 실습동 투어 및 교과/국제/학생 위원회 소속 교수님들과 회의를 진행하여 향후 협력 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장대준 교수 개발 격자형압력용기 미국기계학회(ASME) 2019년 압력용기 부문 신기술로 선정
에너지시스템연구실(지도교수:장대준)에서 개발한 격자형압력용기(Lattice Pressure Vessel: LPV)가 미국기계학회(ASME)의 2019년 압력용기 부문 신기술로 선정되었습니다. 압력용기의 글로벌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는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를 발간하는 ASME는 선정 사유로 “내부 격자 구조에 의하여 임의 형상의 압력용기를 설계 및 제작 할 수 ...
전형민 박사(2015년 졸업, 지도교수: 이필승) 전북대학교 교수임용
기계공학과 전산역학 및 구조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이필승) 졸업생인 전형민 박사(2015년 졸업)가 전라북도 거점국립대학인 전북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에 조교수로 임용되어 2020년 1월부터 교육자로의 길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전형민 박사는 학위 후 2015년부터 MIT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였습니다. 전산역학 및 구조시스템 연구실에서는 네 번째 교수임용입니다.
오왕열 교수, 2019 KAIST 연구원 융합의 날 행사에서 KI 융합연구상 수상
기계공학과 오왕열 교수가 2019년 12월 16일(월)에 KAIST KI빌딩에서 진행된 2019 KAIST 연구원 융합의 날 행사에서 KI 융합연구상을 수상했습니다. 오왕열 교수는 KI 헬스사이언스센터 소속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수준 높은 연구를 진행하여 광학 이미징 발전에 있어 큰 공헌을 하였습니다. 2019 KAIST 연구원 융합의 날은 2019년 한 해 KAIST 연구원 구성원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혁신적 융합연구 활동에 기여한 교수님 ...
김택수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0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신입회원 선정
기계공학과 김택수 교수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의 미래 과학기술을 선도할 최우수 젊은 과학자 '2020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신입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차세대 회원 대상은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로, 특히 박사학위 취득 후 국내에서 이룬 연구 성과를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평가를 통해 국가 미래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과학자를 최종 선출하며, 올해는 정책학부, 이학부, 공학부, 의학...
김진환 교수팀, 국제 자율무인선 알고리즘 경진대회 우승
< 2019 국제 자율무인선 알고리즘 경진대회 시상식 사진 (왼쪽부터) 장준우 기계공학과 석박통합과정, 김종휘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카를로스 아구에로(Carlos Aguero) VRX 주최측 관계자> <2019 국제 자율무인선 알고리즘 경진대회 우승팀 (왼쪽 뒷줄부터 시계방향으로) 성수환(학사과정, 제어/경로계획-항법), 김종휘(박사과정, 리더/인식 알고리즘 총괄), 박진욱(석사과정-제어/경로계획-운동제어), 김태원...
이정철 교수, 이봉재 교수, 단일 입자의 선택적 흡입 및 질량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파이펫 공진기 개발
<그림 좌. ACS Sensors에 표지로 선정된 그래픽 우.샘플 군집 내의 특정 입자 (세포)의 선택적 흡입 및 질량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 파이펫 공진기의 개념 설명> > 생산 및 계측 연구실 (지도교수: 이정철)과 나노 열전달연구실 (지도교수: 이봉재) 연구팀 (Center for Extreme Thermal Physics and Manufacturing, CETPM)은 서울대학교 메카트로닉스연구...
김성용 교수,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 관측의장 선출
기계공학과 김성용 교수가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의 해양관측 (MONITOR) 커미티 의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는 북태평양의 6개 국가 (캐나다,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 미국)의 정부간 해양과학 조직으로 1992년에 설립되었고, 태평양 수역에 대한 조사 활동 및 전문가회의 등을 통해 연구 결과를 교환하고 논의합니다. 캐나다 Institute of Ocean Sciences에 본부를 두고, 산하에 7개의 해양...
박인규 교수, 헬스 모니터링용 고감도 유연 압력 센서 개발
박인규 교수 오용석 연구교수 김규영 박사과정 <마이크로 범프가 집적된 액체 금속 기반 유연 압력 센서>&nbs...
김동하 학사과정 학생, 제38회 대학생 수학경시대회 금상 수상
지난 2019년 11월 9일(토)에 전국 6개교에서 개최된 제38회 대학생 수학 경시대회에서 우리과 김동하(2015, 학사과정)학생이 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대한수학회는 1982년부터 대학생 수학 경시대회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수학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우리나라 기초 학문 발전과 우수한 이공계 인력 배출에 크게 기여해 오고 있습니다.
김영석 박사과정 학생(지도교수: 박영진), 2019 추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 우수 발표상 수상
김영석 박사과정 학생 (지도교수: 박영진)이 2019년 10월 23일 ~ 26일 제주도 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개최된 2019 추계 한국소음진동공학에서 우수 발표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기존 신호 처리 장치의 낮은 계산 성능으로 제한되었던 능동 소음 제어 기술의 발전을 높은 계산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그래픽 카드를 활용함으로써 이룰 수 있음을 본 발표를 통하여 선보였습니다. 본 발표를 통하여 그래픽 카드의 활용이 야기 할 수 있는 능동 소...
장대준 교수, 한국–뉴질랜드, 대규모 액체 수소 교역 추진
<왼쪽부터 뉴질랜드수소협회장 린다 라이트 박사, 카이스트 장대준 교수, 데이비드 파커 뉴질랜드 통상장관> 11월 25일(월)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저에서 뉴질랜드 데이비드 파커 통상장관이 임석한 가운데 한국의 SEA LH2 컨소시엄 대표인 우리 과 장대준 교수와 뉴질랜드 정부를 대표한 뉴질랜드 에너지 자원부 메간 우드 장관이 한국과 뉴질랜드 간의 액체 수소 교역 타진을 위한 의향서에 서명했습니다. 본 의향서는 뉴질랜드의 재생에너지를...
박영진 교수 연구실, 현대자동차 그룹 협업 세계 최초 능동형 노면소음 저감기술 상용화
<그림1. RANC는 노면에서 올라오는 다양한 소음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그와 반대되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소음을 크게 줄인다.> 기계공학과 박영진 교수 연구실(시스템동역학 및 응용제어 연구실)에서 연구한 ‘능동형 노면 소음 저감기술(이하 RANC)’가 현대자동차그룹과 협업하여 개발 및 상용화됩니다. 현대차그룹은 11일 도로에서 발생해 실내로 유입되는 노면소음을 크게 줄여주는 &l...
김남일 교수, 제59회 한국연소학회 최우수연구상 수상
기계공학과 김남일 교수가 제59회 한국연소학회 최우수연구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로써 최초 2회 수상자가 되었습니다. 김남일 교수는 연소기술분야에서 꾸준히 우수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관련 학문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그간 화염구조, 화염안정화, 연소기개발 부분에서 실험, 이론, 수치해석 연구를 다각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연소학회에서 편집자, 심포지움에서 편집자로 활동하면서 연소기술 확산에 힘썼...
김성용 교수, 과학도서 ‘커피와 바다’ 출간
기계공학과 김성용 교수가 지난 11월 23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하 한림원) 회원저술사업을 통하여『석학, 과학기술을 말하다』 34번째 시리즈 ‘커피와 바다’를 출간하였습니다. 중·고교생 및 대중을 대상으로 바다에 대한 기초와 안전 상식 등을 커피라는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유체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한림원 회원저술사업은 과학기술 분야의 우수 저서를 출판 보급하고, 국내 과학기술도서의 질...
2019 새내기과정학부생 대상 기계공학과 학과설명회 개최
지난 11월 18일 (월) 새내기과정학부생을 위한 학과설명회가 기계공학동 공동강의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새내기과정학부생들이 사전에 메모로 작성한 학과 전반에 대해 궁금한 내용을 (교과/연구/진로/생활) 교수님들께서 패널 토의 형식으로 경품 추첨과 함께 응답하는 시간을 가졌고, 이후 맛있는 저녁 식사 & 다과와 함께 조별로 나뉘어 교수님들과 친밀한 멘토링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윤용진 교수, KAIST-구글 AI 교육과정 공동개발 참여
KAIST가 Google과 함께 개발하는 AI교육과정에 우리학과 윤용진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부 서창호 교수가 참여합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7월 KAIST와 구글이 AI 우수 인재양성을 위해 체결한 협약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TensorFlow, Google Cloud, Android 등)을 활용한 교육 과정을 약 1년에 걸쳐 개발할 예정이며, 과목당 미화 7,500달러가 지원됩니다. AI 대학원은 이번 프로그램을 위해 ...
이기호, 정인지, Teguh Aditanoyo 학생 (지도교수: 이정권), 이경태, 정재학 학생 (지도교수: 박용화) 2019 한국음향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우수발표상 수상
이기호 박사과정 정인지 박사과정 Teguh Aditanoyo 이경태 박사과정 정재학 박사과정 석사과정 기계공학과 음향연구실의 이기호, 정인지, Teguh Aditanoyo 학생 (이상 지도교수: 이정권) 및 HUMAN 연구실...
이정권 교수, 2019 한국음향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에서 초청 기조강연
기계공학과 이정권 교수가 2019년 11월 6~8일 기간 중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 한국음향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에서 “산업혁명 4.0 시대에서 핵심가치 중 하나인 음향-진동 지각” 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였습니다. 이 강연에서는 Ind. 4.0 또는 사물인터넷 (IoT)에 관련된 전산 tool 들의 고도화 이후에는 인간의 삶의 질이나 사회 전반의 행복도를 증진 시키기 위한 대상체나 매개를 위한 상호 작용인 HMI 또는...
김성수 교수,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osite Structures (ICCS22)’에서 기조강연
김성수 교수는 2019년 10월 31일~11월 3일 (현지시간) 중국 우한 Hongyi Hotel에서 개최된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osite Structures (ICCS22)’에서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신제조 공정 및 응용”이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을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최근 자동차나 항공기 구조용 재료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탄소섬유 강화 열가소성...
류재하 박사( 지도교수: 성형진) 투고논문, AIP Publishing Journals Scilight (a science highlight) 논문 선정
기계공학과 성형진 석좌교수 연구실(유동제어 연구실) 류재하 박사가 SCI급 국제학술지 Physics of Fluids (IF: 2.627)에 투고한 논문 “Intermittent locomotion of a self-propelled plate”이 AIP Publishing Journals Scilight (a science highlight, https://aip.scitation.org/journal/sci) 에 소개...
권동수 교수 개발 유연내시경 수술 로봇(K-FLEX), 2019 올해의 10대 기계 기술 선정
권동수 교수 ((주)이지엔도서지컬 대표이사 겸임)와 황민호 박사, 김준환 박사, 이동호 박사과정생, 안정도 박사과정생 (한국과학기술원), 백동훈 연구원((주)이지엔도서지컬)이 주축이 되어 개발한 유연 내시경 수술 로봇, K-FLEX가 2019년 올해의 10대 기계 기술로 선정되었습니다. 올해의 10대 기계 기술은 한 해 동안 국내에서 개발된 기계분야 우수한 제품 또는 기술을 선정함으로써 연구자의 노고를 치하하고 국내 우수...
윤국진 교수 국제컴퓨티비전학술대회 ICCV 2019에서 CoView 국제 워크샵 개최
윤국진 교수는 지난 10월 27(일)일부터 11월 2일(토)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제컴퓨터비전 학술대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2019, ICCV 2019)에서 CoView (Comprehensive Video Understanding in the Wild) 국제 워크샵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워크샵은 비디오 영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한 컴퓨터 비전 및 기계학습...
KAIST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기계공학과 공동 주관, 국제 미래자동차 기술 심포지엄 개최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 자동차로 대표되는 교통 시스템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새로운 연구 및 산업 분야가 창출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안전·효율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교통체계 및 자동차의 혁신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우리 대학은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맞춰 세계 최고 수준의 미래자동차 기술 및 아이디어를 공유하기 위해 11일 제주시에 위치한 KAIST 친환경스마트자동차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