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얼룩 효과를 이용한 고분자 배향 기술 개발 - 소프트리소그래피 기반 고배향 유기 반도체 소자 제작
(왼쪽부터) 김준규 박사과정 학생, 김형수 교수 김형수 교수 연구실과 우리대학 화학과 윤동기 교수 연구실 그리고 UNIST 김봉수 공동 연구팀은 커피 방울이 종이에 떨어지면 방울 끝으로 커피 알갱이가 모여 방울의 외곽부분에 커피 얼룩이 생기는 커피링(coffee-ring) 효과를 이용하여 반도체 고분자 구조의 배향(orientation)을 조절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준규 박사과정 (김형수 교수 연구실)마이크로...
신경재활공학연구실(지도교수:박형순 교수),Nano Energy 저널에 “Wear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Exercise System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Post Neurological Injuries” 논문 게재
신경재활공학연구실(지도교수: 박형순 교수)에서 Divij Bhatia 박사,박형순 교수, 조성현, 류연훈, 김유성, 김동현을 저자로 한 “Wear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Exercise System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Post Neurological Injuries” 논문이 Nano Energy 저널(임팩트 팩터...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소재·부품·장비 R&D 연구현장 방문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020년 12월 7일 오후 KAIST 기계공학과 신소재 응용 기계설계 연구실을 방문하여 김성수 교수의 안내를 받아 초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연구개발 현장을 시찰하였습니다.
오일권 교수, 버려지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탈진기 구조를 적용한 마찰전기 발전기 개발
그림1 . 탈진기 기반 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터 그림2. 탈진기 기반 마찰전기 발전기의 에너지 하베스터로서의 성능 확인 액티브 재료 및 동적 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오일권 연구실)은 기계식 시계에서 사용되는 탈진기를 마찰전기 발전기에 결합하여 불규칙한 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탈진기 기반 마찰전기 발전기를 개발하였습니다. 탈진기는 기계식 시계에 적용되는 메커니즘으로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손목의 운동...
Somayadineshraj D. 석사과정 학생(지도교수: 신현정)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 포스터상 수상
신현정 교수님 연구실 석사과정 Somayadineshraj D. 학생이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3D 단백질 섬유 네트워크 밀도가 암 연관 섬유아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하여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습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젤라틴을 이용하여 세포외 기질을 모사하는 3차원 체외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단백질 섬유 네트워크의 밀도가 섬유아세포의 암 연관 섬유아세포(CAF)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
정현태 박사과정 학생(지도교수: 신현정), 한국가시화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신현정 교수님 연구실 박사과정 정현태 학생이 한국가시화정보학회 추계학회에서 “세포 가시화를 통한 상피세포 상처 치유 내 경계 구조 형성의 규명”을 발표하여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공학적으로 모사된 체외 상처에서 세포들의 움직임과 힘을 가시화함을 통해 복잡한 생명현상을 물리적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습니다.
이상현 석박통합과정 학생 (지도교수: 박영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춘계학술대회 인기상 수상
시스템 동역학 및 응용 제어 (지도교수: 박영진) 이상현 (석박통합과정) 학생이 지난 6월 4일(목) ~ 5일(금) 개최되었던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소음 방벽이 있는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의 소음 저감 성능” 의 제목으로 소음제어 부문에서 구두발표를 진행하였으며, 인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정철 교수,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olid-State Sensors, Actuators, and Microsystems (Transducers 2021) 에 Student Engagement Chair 로 선임
우리과 생산 및 계측 연구실 이정철 교수는 20221년 6월 20일 ~ 25일에 개최되는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olid-State Sensors, Actuators, and Microsystems (Transducers 2021) 에 Student Engagement Chair 로 선임되어 학술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봉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웹사이트 : https://www.transduc...
이정철 교수,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공학단 전문위원 위촉
우리과 생산 및 계측 연구실 이정철 교수는 2020년 11월 1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2년간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공학단 설계생산 분야 전문위원으로 위촉되어 소관 분야 학술 및 연구개발 지원사업 관련 평가, 기획 등의 업무에 봉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기호 박사과정 학생 (지도교수: 이정권), ISNVH2020에서 Best Paper Award 수상
<(왼쪽부터) 이기호 박사과정 학생, 이정권 교수> 기계공학과 음향연구실의 (지도교수: 이정권) 이기호 박사과정 학생이 2020년 11월 4일에 Austria의 Graz에서 개최된 제 11차 International Styrian Noise, Vibration & Harshness Congress (ISNVH 2020)에서 “Reinforcement of low-frequency sound b...
박해원 교수팀, IEEE IROS 2020 에서 Best RoboCup Paper Award수상
(좌측부터) 홍승우, 김준하, 박해원 교수 우리과 박해원 교수팀이 IEEE IROS 2020 에서 Best RoboCup Paper Award를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홍승우 학생이 주저자, 김준하 학생이 공동저자, 박해원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 논문의 제목은 "Real-Time Constrained Nonlinear Model Predictive Control on SO(3) for D...
공경철 교수팀, 사이배슬론 2020 국제대회 금메달, 동메달 석권
< 사이배슬론 2020 국제대회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수상한 공경철 교수 연구팀 > < 13일 열린 국제대회에서 경기 중인 김병욱 선수(좌측)과 이주현 선수(우측) > <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로 중계된 김병욱 선수(상단)과 이주현 선수(하단)의 경기 장면 > 공경철 교수가 이끄는 팀 엔젤로보틱스가 11월 13일 우리 대학 본원 캠퍼스에서 열린 사이배슬론(Cybathlon) 2020 국제대회에서...
2020년 교직원 추계 체육행사 실시
지난 2020년 11월 6일(금) 2020년 교직원 추계 체육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교직원들의 체력을 증진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화합하는 직장문화를 창출하고자 진행된 이번 추계 체육행사를 맞아, 기계공학과 행정팀에서는 총 14명의 직원들이 대전 한밭수목원에서 집결하여 안전수칙 및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조를 나누어 산책 및 가벼운 체육활동 후 해산했습니다.
공경철 교수팀, 13일 사이배슬론 2020 국제대회 참가
< 공경철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 > 공경철 교수 연구팀이 13일 오후 3시 대전 본원에서 열리는 사이배슬론(cybathlon) 2020 국제대회에 참가합니다. 사이배슬론은 신체 일부가 불편한 장애인들이 로봇과 같은 생체 공학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겨루는 국제대회입니다. 지난 2016년 첫 대회가 개최된 후 올해 5월 스위스에서 2회 대회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 일정이 9월...
박경서 박사과정 학생(지도교수: 김정)전기저항 단층촬영법 기반의 대면적 로봇 피부 개발
<로봇피부의 컨셉 및 동작 원리> <실제 개발된 로봇피부의 내부 구조 및 시뮬레이션 모델> <실제 센서의 동작 모습(멀티터치)> 2020년 6월에 진행됐던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ICRA 2020)에서 기계공학과 생체기계 연구실 소속 박사과정 박경서 학생 (지도교수: 김정)의 논문이 Best Student Paper Aw...
성형진 교수 연구성과, Lab on a Chip 표지 논문 선정
성형진 명예교수 연구팀(초세대협업연구실)은 음향영동에 의한 액적내의 화학적농도를 임의로 조정할수 있는 계속적인 액적생성 플랫폼을 개발, 학계에 보고하였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Acoustofluidic Generation of Droplets with Turnable Chemical Concentrations“라는 제목으로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미세유체기술 및 마이크로타스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인 랩온어칩(La...
이강택 교수 연구팀,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전지’ : 디지털 트윈 가상화 분석 기술 개발 성공
<디지털 트윈화된 전고체 전지 전극 및 결함 분석 결과의 시각화> <(좌측부터) 이강택 교수, 배경택 박사과정 학생> 우리 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이용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여, 전고체 이차전지의 전극에 대한 디지털 트윈1) 화 기술을 통한 3차원 이미징 분석 및 정량화에 성공했습니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높은 안정성과 순수 리튬이온 전도성을 갖기...
글로벌특이점 과제 연구단, 2nd RENEW Workshop 개최
기계공학과 박형순 교수, 신현정 교수, 김정 교수와 바이오뇌공학과 정재승 교수가 소속된 글로벌특이점 과제 연구단에서 10월 20일 2nd RENEW Workshop을 개최하였습니다. "Integrating Sensor Information for Optimal Rehabilitation"이란 주제로 진행된 이번 워크샵은 COVID-19 상황으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작년 첫번째 워크샵과 같이, 국내외 다양한 기관...
윤정환 교수, 오영석 박사과정 - 한국소성가공학회 학술상 및 신진기술상 수상
기계공학과 CANESM (Computer Aided Net Shape Manufacturing) Lab. 소속의 윤정환 교수와 박사과정 오영석 선임연구원이 한국소성가공학회 학술상과 신진기술상을 각각 수상하였습니다. 해당 학회에서 학술상과 신진기술상은 매년 1명씩 수여되며, 수상 후보자의 소성가공 분야에 대한 학문적, 기술적 공로를 평가하여 선정하게 됩니다. 이날 윤정환 교수는 제 9회 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이 상은 &qu...
김성용 교수, 2020 한국해양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기계공학과/인공지능연구소 김성용 교수는 11월 5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0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물리해양 분야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성용 교수는 준개방형 만에서의 아중규모 조류, 와동류와 잔차류의 표층 순환(Submesoscale surface tidal, vortical, and residual circulations in a semi-enclosed bay)을 제목으로 해양분야 최고의 국제 학...
성형진 교수, 한국전산유체공학회 제1회 학술상 수상
성형진 명예교수가 10월 20일(화) 유체공학 분야의 학술 발전에 공헌한 바를 인정받아 한국전산유체 공학 제1회 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성형진 명예교수 연구팀(유동제어연구실)은 그동안 난류, 고체-유체 상호작용, 음향-미세유체역학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 SCI급 국제학술지에 380여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제주 메종글래드호텔에서 열린 2020년도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통합학술대회에서 &ldquo...
2020 재단법인 우덕윤덕병재단 장학생 최종 선발
기계공학 관련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수행하면서 성적이 우수하거나 품행이 단정하여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은 석/박사과정 학생 중 5명을 최종 선발하였습니다.
2020년도 기계공학과우수상 부문별 수상자 안내
학업과 연구 실적이 우수하고 타의 모범이 되는 기계공학과 학생 13명을 2020년도 기계공학과우수상 수상자로 최종 선정하였습니다 . COVID-19 확산 방지 등의 이유로 시상식 개최 대신 수상자들에게 개별적으로 학과에서 상장을 배부하였습니다.
김형수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공동 연구 논문 출판
<김형수 교수> 우리학과 김형수 교수(유체 및 계면 연구실)는 최근 두 편의 Nature Communications 공동 연구 논문을 출판했습니다. 한 편은, 우리대학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연구팀의 성냥개비 탑구조 형상의 초고효율 수소생산 촉매 소재 개발 연구의 공동연구로, 나노 구조 내부를 탈출하는 나노 버블의 거동에 대한 해석 모델을 제공하고 그 현상에 대해 설명하여, 이를 통해 3차원 나노 다공 구조에서의 물질 이송에 대...
기계공학과 동문 김일용 교수('97 박사), 제23대 캐나다과기협 회장으로 선출
기계공학과 석, 박사과정을 졸업한 퀸즈대학 김일용 교수가 97.6% 회원의 지지를 얻어 제23대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 (AKCSE) 회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