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택 교수 연구팀, 가역성 고체산화물 전지를 위한, 고효율/고내구성 란타넘 스트론튬 코발트 페라이트 산소 전극 촉매 개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기반 La0.2Sr0.8Co0.8Fe0.2O3-δ 산소 전극 촉매의 산소환원 및 산소발생 반응 모식도> <(좌측부터) 이강택 교수님, 김도엽 박사> 우리 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은 에너지기술연구원 이찬우 박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홍승태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여,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위한, 고성능/고내구성 산소 전극 촉매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n...
기계공학과 인스타그램 개설
기계공학과 인스타그램이 지난 4월 2일 오픈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에서는 기계공학과의 소소한 일상들과 소식들을 소개 할 예정입니다. # https://www.instagram.com/kaist_me/ # 인스타그램 아이디 : kaist_me 한편, 기계공학과 유튜브와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서도 학과의 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 유튜브 : https://youtube.com/c/MechanicalEngineeringK...
기계공학과 졸업생 노진성('19 박사, 지도교수 이봉재) 한밭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기계공학과 졸업생 노진성('19 박사, 지도교수 이봉재) 박사가 2021년 4월 1일부로 한밭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노진성 박사는 학위 후 삼성전자 DS부문 생산기술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Spectroscopic Reflectometry / Ellipsometry 및 Ion Beam Etching을 연구하고 이를 활용한 반도체 검사/계측/분석 설비 개발을 하였습니다.
이종원 명예교수, <이종원의 역학골프3: 골프는 임팩트 경기> 출판
이종원 명예교수는 2021년 3월 ‘이종원의 역학골프 3: 골프는 임팩트 경기(좋은땅, 신국판, 300쪽)’를 출판했습니다. 이 책은 골프 역학 원리를 일반 독자들을 위하여 쉽게 풀이한 <역학골프(Mechanical Golf)> 시리즈의 제3편으로 제1편 ‘각도 알고 타수 줄이기(좋은땅, 2011)’와 제2편 ‘생각하는 퍼팅(좋은땅, 2016)’에 이은 후속 저술로 골...
배중면 교수 기고, <탄소중립 해법 연료전지로 푼다>
우리학과 배중면 교수가 <탄소중립 해법 연료전지로 푼다> 라는 제목으로 국민일보사에 기고한 기사문이 지난 3월 25일자로 발간되었습니다. 기고문 전문은 아래 국민일보 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고문 바로보기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4106
기계공학과 온라인 정년기념행사 개최
2021년 3월 25일 오후 4시에 온라인 정년기념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준비위원회(이두용, 김남일, 이필승, 이익진, 신현정, 이봉재, 김영진, 박해원, 심기동 교수)의 알찬 준비와 김정 교수의 사회로 온라인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0년과 2021년에 정년을 맞으신 송태호 교수, 오준호 교수, 이병채 교수, 한순흥 교수,&...
박경원,박정수,이대호 석사과정 학생(지도교수: 공경철), 카이스트 글로벌리더상 도전부문 수상
지난 2월 16일, 우리학과 로봇시스템제어연구실의 박경원,박정수, 이대호 석사과정학생(지도교수: 공경철) 이 KAIST 글로벌리더쉽상(도전부문)을 수상하였습니다. 카이스트의 핵심가치인 도전 창의 배려에 부합하는 탁월한 도전정신을 발휘하여 올해의 수상자가 되었습니다.
김정원 교수 연구팀, 극초단 전자 펄스의 타이밍을 100조분의 1초 시간안정도로 제어하는 기술 개발
<그림1. 레이저 & 포토닉스 리뷰에 발표된 본 연구의 표지 사진> <그림2. 그림 2: 전자 펄스의 타이밍을 측정하고 안정화하는 기술의 개념도. 전자 펄스는 마이크로파 고주파 신호와 레이저 신호로부터 생성되며,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스트리킹을 통하여 수 펨토초 수준으로 타이밍을 안정화할 수 있다.> 우리과 김정원 교수 연구팀이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초고속방사선연구실과의 공동 ...
레인보우로보틱스,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
이족보행 로봇 '휴보(HUBO)'를 개발한 우리학과 오준호 명예교수와 이정호 박사가 공동으로 창업한 레인보우로보틱스가 2월 3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하였습니다. 상장 당일 시초가는 공모가 대비 2배로 형성되었으며, 이후 30% 오른 상한가를 기록하며 마감했습니다. 2011년 설립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한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입니...
2021년도 KAIST-LG전자 산학기술 교류회
지난 2월 18일 2021년도 KAIST-LG전자 산학기술교류회가 LG전자 H&A연구센터(가산 R&D캠퍼스)와 KAIST 기계공학동에서 대면과 온라인회의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교류회는 코로나 19상황에서도 대면과 비대면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되어, 총 30여명이 참석하여 협력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양동열 명예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공학부 종신회원 선임
우리학과 양동열 명예교수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에 2020년 12월부로 정회원을 정년으로 마치고, 공학부 종신회원에 선임되었습니다.
김승우 명예교수, 2021년도 한국광학회 동계학술발표회에서 총회강연
기계공학과 정밀측정연구실의 김승우 명예교수는 2021년 2월 17~19일 서울 COEX에서 개최된 한국광학회 (OSK, Optical Society of Korea) 동계학술발표회 총회에서 ‘광 빗 –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생성 및 응용’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 김승우 명예교수는 지난 20여년에 걸쳐, 극초단 펄스 레이저 광 빗 기술을 기반으로 극초정밀 측정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여 ...
김영진 교수, 2021년 한국광학회(OSK) 광기술혁신상 수상
기계공학과 김영진 교수는 원자에서 우주까지의 다양한 스케일에 적용가능한 초정밀 측정기법과 레이저 우주통신기술을 개발/확립하여 광기술의 혁신에 크게 기여한 바, 지난 2021년 2월 17~19일 개최된 한국광학회 동계학술발표회에서 광기술혁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남한구 박사과정 학생(지도교수: 김영진), 한국광학회 동계학술발표회 우수 논문상 수상
초정밀 광측정 및 가공 연구실 (지도교수: 김영진) 박사과정 남한구 학생이 2021년 2월 17~19일 개최되었던 2021년 한국광학회 동계학술발표회에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투명 목재 위 레이저 유도 그래핀 생성”을 발표하여 ‘광기술’ 분야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자연유래 목질계 재료를 기반으로 전극재료를 합성하여, 지속가능한 유연/신축 전자소자의 ...
2020 가을학기 ME성적우수상 시상
2021.3.11.(목) 개최된 2021-1회 학과 교수회의에서 지난 가을학기 성적 상위 10% 학부 학생 8명을 선발하여 ME성적우수상 수상자로 발표하였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회의가 개최되어, 상장 배부는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별도 진행 예정입니다.
공경철 교수, 카이스트 공과대학 리서치웹진 ‘Breakthroughs‘ 리더스 초이스 상 수상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가 2021.02.17. KAIST Research Webzine 'KAIST Breakthroughs‘의 ‘Readers' Choice Award’를 수상했습니다.
공경철 교수,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가 2021.02.23.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 주최한 제 42회 정기총회 ‘정부 및 유관 기관장 포상‘에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정부포상은 매년 정기총회를 맞이하여 의료기기 기업의 산업발전 및 수출증진에 기여한 유공자를 발굴하여 포상하고 있습니다. 공경철 교수는 ㈜엔젤로보틱스(벤처기업)을 운영 중이고, 국내 재활의료로봇 보급을 추진중입니다. 이에 ...
경기욱 교수 연구팀, 자체 무게의 480배 이상을 들어올릴 수 있는 소프트 그리퍼 개발
<왼쪽부터. 경기욱 교수, 황건우 박사과정 학생> <그림1. 자체 무게의 480배 이상의 중량을 들어올리는 소프트 그리퍼> <그림 2. 단일 소프트 그리퍼를 사용한 다양한 형상의 물체 파지> <그림 3. 로봇팔에 장착된 소프트 그리퍼를 이용한 물체 이송 시험> <그림4. 개발한 소프트 그리퍼의 구조(a, b) 및 전기접착식피부(c), 인공근육(d)의 원리> ...
기계공학과-세라젬 산학협력협약식
2021년 1월 28일 목요일 카이스트 기계공학동 중앙회의동 소회의실에서 세라젬과 기계공학과 간의 산학협력협약식이 개최되었습니다. 협약내용은 기계공학과와 세라젬과의 산학협력에 필요한 연구개발, 교육, 세미나 등의 협력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이 협약은 긴밀한 산학협력을 통해 과학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진행되었습니다. 참석자는 세라젬측 사회자 1명, 협약 참석자 2명, 기계공학과에서는 박...
기계공학과 졸업생 박기서(‘20 박사, 지도교수 : 최세범)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 조교수 임용
기계공학과 차량제어연구실(ACL) 졸업생인 박기서 박사(‘20 박사, 지도교수 : 최세범)가 울산을 대표하는 종합대학인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에 조교수로 임용되어 올해 3월부터 교육자로서의 길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박기서 박사는 학위 후, 2020년부터 현대자동차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였습니다.
기계공학과 졸업생 정석환('18 박사, 지도교수 김경수)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기계공학과 졸업생 정석환('18 박사, 지도교수 김경수) 박사가 2021년 3월 1일부로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정석환 박사는 소형 로봇 구동메커니즘을 주제로 KAIST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마이크로-메소 스케일 단위의 뇌 수술용 로봇, 혈관 수술용 로봇, 핸드 엑소스켈레톤 등을 개발해왔습니다. 서강...
기계공학과 졸업생 김용훈('18 박사, 지도교수 김경수) 충남대학교 기계공학부 조교수 임용
KAIST 기계공학과 졸업생 김용훈('18 박사, 지도교수 김경수) 박사가 2020년 3월 1일부로 충남대학교 기계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김용훈 박사는 학위후 KAIST친환경스마트자동차연구센터에서 연구조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모터 제어,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 전기자동차 시스템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기계공학과 졸업생 김우용('20 박사, 지도교수 김경수) 호서대학교 AI융합대학 로봇자동화공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기계공학과 졸업생 김우용('20 박사, 지도교수 김경수) 박사가 2021년 3월 1일부로 호서대학교 AI융합대학 로봇자동화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김우용 박사는 KAIST 친환경스마트자동차연구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배터리 셀의 전기화학적 성능 분석기술,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발해왔습니다. 호서대학교 부임 후에 국내 배터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배터리 시스템에...
오일권 교수, 2020년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한 교원 포상 수상
기계공학과 오일권 교수는 2020년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한 교원대상 Impact Research 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본 상은 각 단과대학별로 FWCI 1.5이상, 논문 수10편 초과 또는 구글 H-INDEX 20을 초과하는 후보자 그룹을 선정하여 상위 순위자에게 주어졌습니다.
김형수 교수, 2021년도 송암(松岩) 미래석학 우수 연구상 수상
기계공학과 김형수 교수는 2021년도 송암(松岩) 미래 석학 우수 연구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송암 미래 석학 우수 연구상은 한국 호머 이정우 회장의 뜻에 따라 공과대학 소속 부임 5년 미만의 조교수 중 연구 성과가 탁월한 우수 교원을 선정, 연구 활동을 독려하고자 시행되었습니다. 매 년 개교기념일 행사에 시상식이 이루어졌지만, 올해는 코로나19 로 인하여 별도 학교 방침에 따를 예정입니다.